오늘은 얼마전 국세통계포털에서 공개된 최신 데이터를 통해 우리나라 소득 현황을 자세히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TASIS 국세통계포털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리 모두가 궁금해하는 소득과 세금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근로소득자의 현주소
"2023년 근로소득자의 평균 총급여액은 4,332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9만 원 증가했습니다."
국세청이 발표한 국세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평균 연봉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평균 결정세액이 428만 원으로 오히려 감소했다는 것인데요, 이는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세제 혜택이 실질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2. 소득 구간별 현황: 숫자로 보는 대한민국
소득 구간 | 인원 비율 | 특징 |
---|---|---|
3천만원 이하 | 45.3% | 가장 많은 비중 차지 |
3천만원~5천만원 | 25.9% | 중간 소득층 |
5천만원~1억원 | 22.1% | 중상위 소득층 |
1억원 초과 | 6.7% | 고소득층 |
국세통계센터의 분석에 따르면, 전체 근로소득자 중 약 71%가 5천만원 이하의 연봉을 받고 있습니다.
3. 지역별 소득 격차
연말정산 데이터를 통해 본 지역별 평균 총급여액은 흥미로운 패턴을 보여줍니다:
광역시도 TOP 3
- 울산: 4,960만원
- 서울: 4,797만원
- 세종: 4,566만원
4. 주목할 만한 변화들
국세통계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변화들:
- 자녀 세액공제 신고: 242.2만명 (전년 대비 ▼6.6%)
- 출산·입양 세액공제: 13.6만명 (전년 대비 ▼6.8%)
- 억대 연봉자: 139만명 (전체의 6.7%)
5. 종합소득세 동향
2023년 종합소득세 현황:
- 종합소득 금액: 386조원 (전년 대비 ▲14.2%)
- 결정세액: 52조원 (전년 대비 ▲88.3%)
"상위 1%의 종합소득 금액 비중이 21.1%로 전년 대비 1.8%p 감소했다는 점은 소득 불균형 완화의 긍정적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6. 국세통계 활용하기
국세통계센터와 국세청은 누구나 쉽게 통계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TASIS 국세통계포털에서 회원가입 후,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승인을 받으면 파일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국세통계포털(TASIS)
타시스, 국세청이 제공하는 통계서비스
tasis.nts.go.kr
이러한 국세통계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우리 사회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중요한 나침반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세수현황,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현황,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 현황, 현금 영수증 발급 현황, 주요 세목별 세수 현황 등
앞으로도 국세통계포털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더 나은 정책과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봅니다.
'지속 가능한 동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레인보우로보틱스 품다! 로봇 제국 건설의 서막? (2) | 2025.01.01 |
---|---|
테슬라vs리비안의 영업비밀 소송, 조건부 합의종결? (0) | 2024.11.24 |
2차전지 시장, 회복의 가능성은? 정책과 반전 (0) | 2024.11.20 |
2차전지 음극재 가동률 회복 지원 전략 (0) | 2024.11.20 |
2차전지 주가 하락, LG엔솔 적자 전망 (0) | 2024.11.20 |